달빛향기 DalHyang

도시통합운영센터(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법)

카테고리 없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정의

∘ 각종 CCTV의 관제기능을 통합, 연계하고 지능형 교통정보 시설물을 운영하여 효율적으로 도시자원을 관리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도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범죄 및 재난, 재해 발생 시 유관기관과 신속하게 합동 대응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도시의 기반시설

 

 

1.도입배경

저성장 시대를 맞아 재난, 재해, 범죄, 환경문제, 도시재생 등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효율적, 통합적으로 해결하려는 스마트도시 기술개발 및 정책적 지원 필요

 

 

 

2.주요내용

각종 도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시를 효과적으로 운영·관리

주민이나 관련 기관에 분석된 도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지원

 

도시통합운영센터 주요내용(도시통합운영센터 구분)

 

 

 

 

 

 

 

 

 

 

법률 체계 전환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등에 관한 법, 스마트도시조성 및 산업진흥법

용어정리 K-Geo 플랫폼

카테고리 없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연관 용어  -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KOPSS(UPIS, GIS, 개방형데이터)

 

 

 

 

1.K-Geo플랫폼의 정의

국가·공공에서 생산된 공간정보의 생산부터 수집, 가공, 제공하는 모든 과정을 클라우드 기반의 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

 

 

 

2. 추진배경

. 비효율적 데이터 관리 : 운영장비가 물리적으로 분산(서울/춘천/평택 등) 및 시스템별 상이한 SW(ArcGIS/DBMS )로 구축되어 데이터가 분산관리

 

. 공간정보의 활용성 확대 : 수집된 공간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공간정보를 고가의 SW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 필요

 

. 운영인프라 개선 : 시스템 노후화로 대용량 공간DB 운영, 최신기술 반영, 데이터 공동활용 등 공간정보 기반 행정업무 플랫폼 서비스 곤란

 

 

 

 

 

 

 

 

 

3. 주요내용

표준DB 구축 : 공간정보 표준화 및 모델링 과정을 통해 신규 표준 정의, 국가공정보 통합DB 구축

K-Geo플랫폼 : 클라우드 운영 환경 및 오픈소스 기반의 공간정보플랫폼 구축

개발 플랫폼 : 개방형 공간정보 플랫폼으로 오픈소스를 활용 누구나 시스템 개발 및 활용 가능

서비스 플랫 폼 : 3차원 경관시뮬레이션 등 정책의사결정지원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및 분석 서비스

 

 

 

 

4. K-Geo 플랫폼 구축에 따른 영향

현재 일부 독점 중인 외국산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환경(관련 전문가 만 접근 사용)에서 클라우드 기반(인터넷에 접속하면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를 통한 공간정보 활용(생산, 가공 등)으로 비전문가도 손쉽게 활용가능

데이터 댐(Data Dam) 사업의 가시화 및 향후 성공 가능성, 관련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기대

 

 

 

 

*데이터 댐 2020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중 디지털 뉴딜 중 하나로 공공+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가공·결합·거래·활용하여 데이터 경제를 가속화하고, 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 융합 서비스를 모든 산업으로 확산하기 위한 데이터 집합체계 사업

 

 

 

 

키워드 : 한국판 뉴딜, 공간정보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KOPSS, 데이터 댐(Data Dam)

 

경관정책기본계획의 정의 및 제1차 제2차경관정책기본계획 비교

카테고리 없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 경관정책기본계획 정의

국가계획으로 경관정책에 대한 종합적 계획, 우수한 국토경관 형성 및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기본방향과 전략을 제시

5개년 단위의 계획으로 경관정책의 중기 전략을 수립, 구체적인 집행방안을 제시하는 실천계획

 

 

 

2. 경관정책기본계획 수립 배경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경관 보전·관리 및 형성의 필요성 대두

2013년 경관법 전면개정으로 국가 차원의 경관정책기본계획 수립기반 마련

 

 

3.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획(2020년 ~ 2024년)

법적근거 및 주요 내용 

 - 법적근거 : 경관법’제6조(경관정책기본계획 수립)
 -
국토교통부장관은 아름답고 쾌적한 국토경관을 형성하고 우수한 경관을 발굴하여 지원 육성하기 위하여

   「경관정책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

 

 

계획의 성격 및 위상

 - 경관정책에 대한 종합적 계획으로써,우수한 국토경관 형성 및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기본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는 

   국가계획
 * 지자체 실행계획의 수립방향을 제시하고 근거와 기준이 되는 상위계획
ㅇ 5개년 단위의 계획으로서 경관정책의 중기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집행방안을 제시하는 실천계획
ㅇ 경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중앙 및 지방정부와 민간 등 다양한 분야 간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협력계획

 

 

 

 

 

 

경관정책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4. 경관정책기본계획 추진 현황 비교

제1차 경관정책기본계획 vs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획 비교

 

 

 

 

 

경관계획_ 도시경관, 경관정책 및 경관계획의 종류, 경관심의 대상 사업

카테고리 없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경관의 개념

사전적 : , , , 바다 등 자연이나 지역의 풍경

 

지리적 : 자연적 요소에 대한 인간의 활동이 작용하여 만들어낸 지역의 통일된 특성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으로 구분)

 

법적 : 자연, 인공 요소 및 주민의 생활상 등으로 이루어진 일단의 지역환경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

경관의 개념<사전적, 지리적, 법적>

 

 

 

경관분석 접근방법

정신물리학적 : 물리적 속성(식생지역 면적 비례 등)을 계량적인 방법으로 분석

 

조망-은신(경관학자 Appleton) : 자신은 숨기고(은신) 경관을 관조하려는(조망) 입장으로 분석

 

문화학습이론적 : 역사 문화재 등 문화적 학습에 의한 형성된 경관 분석

경관분석 및 접근방법

 

 

 

경관계획의 종류

도 경관계획 : 도 관할구역 전체에 대한 경관계획의 목표제시, 기본방향 및 기본방침을 제시하는 계획

 

·군 경관계획 : 구체적 장소를 대상으로 경관 보전·관리 및 형성을 위한 실행계획 등을 제시 하는 계획

 

특정경관계획 : 특정한 경관유형(산림, 수변, 가로, 농산어촌, ) 특정한 경관요소(야간, 색채, 옥외광고물 등)를 대상으로 경관 보전·관리 및 형성을 위한 실행계획 등을 제시 하는 계획

 

 

 

 

 

 

 

 

경관계획 내용

수립대상 : ·도지사 및 인구 10만을 초과하는 시장·군수

 

도시계획과의 관계 : 도시·군기본계획에 부합되어야 하며, 경관계획의 내용이 도시·군기본계획의 내용과 다른 때에는 도시·군기본계획의 내용이 우선함(경관법 제9조제4)

 

경관심의 대상 사업

 가. 사회기반시설(SOC) : 총 사업비 500억 이상의 도로·철도 / 300억원 이상의 하천

   - 조례로 정하는 사회기반시설(대상 사업규모도 조례로 규정)

 

 나. 개발사업 : 도시지역 3이상 / 비도시지역 30이상의 개발사업

   - 농어촌 생활환경 정비사업은 20이상

 

* 개발사업은 사전경관계획을 개발사업의 계획에 포함한 경우 심의에서 제외

 

 다. 건축물 : 경관지구의 건축물 / 중점경관관리구역의 건축물 중 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 공공건축물(지자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로서 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도시재생 용어 도시재생지원센터(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카테고리 없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의 정의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11조에 의거도시재생사업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조직으로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실행 조직(지자체와 주민조직간 소통을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

 

 

 

 

도입배경

도시관리에 있어 물리적 측면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이고 균형 고려한 도시재생으로 패러다임 전환됨에 따라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수

지자체, 지역활동가와 주민 등 이해관자들의 갈등관리·협력을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 대두

 

 

도시계획패러다임 변화, 도시재생 방식

 

 

 

 

 

 

주요내용

. 유형

·도 단위의 광역도시재생센터(광역지원센터), 기초도시지원센터(기초지원센터),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에 설치하는 현장지원센터로 구분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유형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 기초도시재생지원센터, 현장지원센터

 

. 주요업무

지역내 다양한 주민, 기업, 시민단체, 전문가, 행정 등 도시재생사업주체 간 파트너십 구축

지역리더 발굴·육성과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지원 및 추진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도시재생활성계획 수립과 관련 사업의 추진 지원

 

 

. 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역할 비교

도시재생지원센터 현장지원센터
- 도시재생사업과 관련 거버넌스 구축


- 주민 등 역량강화 및 전문가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운영


주민참여사업 발굴 및 공모사업 시행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의 창업 및 운영 등 지원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지원 및 주민의견 수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주민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현장 점누가 육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주민참여 사업 및 협업사업 발굴, 사업시행주체 발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마을기업, 사회적기업등 사회적 경제조직 창업 및 운영 지원

 

. 운영방식

행정직영형 :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

민간위탁형 : 지자체가 설립, 민간에 위탁 운영

공공위탁형 : 지자체가 설립, 공기업, 지방공사 및 출연연구원이 위탁 운영

재단설립형 : 지자체가 설립 별도로 구성된 재단이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