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이란? 뇌염 전파경로 및 백신의 종류, 예방접종 대상과 접종시기, 접종전 주의사항)
기타 정보 및 일상여름철 모기로 부터 감염될 수 있는 일본뇌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본뇌염이란?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발병하는 감염질환
- 뇌염의 경우 성격 변화와 신경증상이 나타나며, 오한과 두통이 심해지면서 고열과 함께 경련, 의식손실, 혼수상태로 진행 될 수 있으며 약 30%의 치명률을 보이는 질병임
- 뇌염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회복되어도 1/3의 환자들에서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가져옴
일본뇌염의 전파경로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감염됨
* 여름철 모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 집에서는 방충망과 모기장을 사용
- 모기 활동이 심한 기간 및 등산등 야외 활동을 자제 하거나 긴팔, 긴 바지 등을 착용
-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물웅덩이나 빗물이 고인 곳은 소독 등을 실시
일본뇌염 백신의 종류
불활성화 백신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대해 항원성을 갖는 바이러스의 일부로 생산된 백신
약독화 생백신 : 생바이러스를 약독화시켜 생산된 백신
일본뇌염 백신의 종류 및 제품
종류 |
제품명 |
비고 | |
불활성화백신 |
쥐 뇌조직 유래 |
녹십자 - 일본뇌염백신주 보령일본뇌염백신주 |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과 베로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 간 교차접종은 비 권장 |
베로세포 유래 |
녹십자-세포배양일본뇌염백신주 보령세포배양일본뇌염백신주 | ||
약독화생백신 |
햄스터 신장세포 유래 |
씨디제박스 |
- |
키메릭 베로세포 유래 |
이모젭 |
식품의약안전처 허가 심사 중 |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과 접종시기
접종대상 : 모든 영아 유아
권장 접종시기
불활성화 백신의 경우 12~24개월 (1차~2차 기초접종), 36개월 3차, 만 6세 4차, 만12세 5차
약독화생백신 : 12~25개월 (1차~2차 기초접종)
백신종류 별 예방접종을 받아서는 안되는 주의사항
불활성화 백신
- 이전에 불활성화 백신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경우
- 백신 성분 및 첨가제에 과민 반응이 있었던 경우
약독화 생백신
- 이전에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우
- 백신 성분 및 첨가제에 과민 반응이 있던 경우
- 면역기능 이상 또는 중등도 이상의 급성질환
- 수혈 등 항체 함유 혈액제제 투여 후 일정기간 이내
예방접종 후 주의 사항 및 이상반응,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란?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란?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는 정부에서 국가에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발생하면 예방접종과의 관련성을 심의하여 진료비를 보상하는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를 운영
*접종받은 기관이나 보건소에 문의 하거나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방문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증상을 관찰
- 귀가 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증상 관찰
- 접종부위 청결 유지
- 접종후 최소 3일간 관십을 가지고 관찰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증상이 나타나면 진료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 접종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이나, 두통, 근육통, 발열, 오심과 같은 경미한 이상반응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정상 면역반응으로서 3일정도 두고봐야함
- 하지만 3일 이후에도 지속적인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면 즉시 의료기관 방문
- 관할 보고선에 예방접종 이상반응 신고
'기타 정보 및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병하면 떠오르는 고혈압(정상혈압과 고혈압의 범위, 원인 및 종류) (0) | 2015.06.26 |
---|---|
각종 공과금 간편 인터넷 납부, 카드납부, 공과금 통합납부서비스 (0) | 2015.06.21 |
물류단지 세부 시설 및 개발가능 시설 규모- 물류단지 사업계획서 제출자료 (0) | 2015.06.16 |
항산화 성분이 많이 든 레드푸드 슈퍼푸드 토마토의 종류 및 기능 (0) | 2015.06.15 |
축산업등록제 또는 축산업허가제 대상면적 및 허가, 등록, 제외대상 - 배합사료 가격 표시제란 (0) | 201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