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패키지(GPKG) 파일, GIS의 사용의 세로운 구세주
기타 정보 및 일상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다양한 파일 형식을 접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점점 더 인기를 끌고 있는 포맷이 있으니, 바로 GPKG(GeoPackage) 입니다! 오늘은 GPKG가 무엇인지, 왜 주목받고 있는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GPKG란 무엇인가?
GPKG(GeoPackage)는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 포맷입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개발했으며, SQLite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작동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간단히 말해, GIS 데이터를 저장하는 "SQLite 기반의 GIS 데이터베이스"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존의 대표적인 GIS 파일 포맷인 Shapefile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특징GPKG(GeoPackage)Shapefile
확장자 | .gpkg | .shp, .shx, .dbf 등 여러 개 |
저장 방식 | SQLite 데이터베이스 | 여러 개의 개별 파일 |
용량 | 상대적으로 작음 | 비교적 큼 |
속도 | 빠름 | 상대적으로 느림 |
압축 지원 | 기본적으로 압축된 형태 | 별도 압축 필요 |
속성 테이블 | SQL 기반으로 유연하게 관리 가능 | 고정된 형식의 테이블 |
GPKG는 하나의 파일 안에 벡터 데이터(점, 선, 면), 래스터 이미지, 타일맵, 메타데이터 등을 모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GIS 데이터 파일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이거 실제 사용하시는 분들은 엄청 편하다고 느끼실꺼에요 저희 직원들한테 말해줬는데... 편하다고 하더니 잘 안쓰긴 합니다. 귀찮은거 겠죠 ..)
shp파일은 최소 3가지 파일이 같이 있어야 정상적으로 GIS에서 열리고 작동되나 GPKG파일은 ZIP파일처럼 SHP파일을 압축한 것과 같이 하나의 파일에 모든게 다 있어서 그냥 쉽게 복사 붙여넣어서 파일 이동 관리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왜 GPKG를 사용해야 할까?
🔹 1) 파일 관리가 편리하다
Shapefile을 사용하면 최소 3개의 파일(*.shp, *.shx, *.dbf)이 함께 있어야 하며, 추가적인 파일(.prj, .cpg 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GPKG는 하나의 파일에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파일 관리가 훨씬 편리합니다.
🔹 2) 데이터 용량이 작다
GPKG는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Shapefile보다 용량이 작으며, 압축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3) 빠른 속도와 강력한 기능
SQLite 기반이므로 대용량 데이터를 다룰 때도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SQL을 활용하여 데이터 조회, 편집, 분석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4) 모바일 및 웹 GIS에 적합
SQLite를 사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도 쉽게 연동할 수 있어, 모바일 GIS 프로젝트에도 적합합니다. 웹 GIS에서도 GPKG를 사용하면 서버 부하를 줄이고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합니다.
GPKG 활용 사례
1)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QGIS, GDAL, ArcGIS 등 다양한 GIS 소프트웨어가 GPKG를 지원합니다. 특히 QGIS는 기본 저장 형식으로 GPKG를 사용할 정도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아쉬운건 ArcGIS에서도 사용가능하지만 Arcgis Pro이상의 버전만 가능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오픈 소스 QGIS에서 사용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2) 공간 데이터 공유 및 배포
GPKG는 하나의 파일에 모든 공간 데이터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공유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이메일이나 클라우드 스토리지(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등)를 통해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3) 모바일 GIS 애플리케이션과 연동
SQLite 기반이므로 모바일 앱과도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장 조사 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저장하고, 나중에 PC에서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웹 GIS에서 타일맵 저장
GPKG는 벡터뿐만 아니라 타일맵(Tile Map)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지도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으며, 웹 GIS 시스템에서 지도 타일을 캐싱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GPKG 파일 직접 사용해보기
GPKG 파일을 직접 사용해보는 방법도 어렵지 않습니다. 간단한 실습을 해볼까요? 😃
📌 QGIS에서 GPKG 파일 불러오기
- QGIS를 실행합니다.
-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 메뉴를 선택합니다.
- 파일 형식에서 GeoPackage (*.gpkg)를 선택한 후 원하는 GPKG 파일을 선택합니다.
- 불러온 데이터가 QGIS 지도 창에 표시됩니다!
GPKG 파일 만들기
- QGIS를 실행합니다.
- GeoPackage (*.gpkg) 변환하고싶은 레이어를 선택
- 오른쪽 마우스 우클릭 > 내보내기(X) > 피처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A)
- 포멧을 GPKG선택 후 내보내기> 끝~
'기타 정보 및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도 상반기 화성시 전기차 구매혜택 지원금 얼마일까 (0) | 2025.02.16 |
---|---|
Skrr 이게 뭔데? 요즘 SNS에서 자주 봤는데 무슨 뜻이지 (0) | 2025.02.15 |
도시계획의 마법 치환으로 바라본 도시의 변화 (0) | 2025.02.11 |
CSV 파일이란? 장점, 단점, 그리고 활용처까지 한눈에 살펴보기 (0) | 2025.02.10 |
청양고추 이래서 중독될 수밖에 없나? 매운맛의 비밀과 놀라운 효능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