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향기 DalHyang

'죽은인터넷'에 해당되는 글 1건

  1. 죽은 인터넷 이론 - Dead Internet Theory

죽은 인터넷 이론 - Dead Internet Theory

기타 정보 및 일상
반응형

 

죽은 인터넷 이론: 우리는 진짜 인간과 소통하고 있을까?

 

인터넷은 우리가 정보를 찾고, 사람들과 소통하며, 여가를 즐기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 되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인터넷을 둘러싼 불안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과연 우리가 인터넷에서 마주하는 정보와 사람들은 모두 실제일까? 혹시 우리가 보고, 읽고, 반응하는 콘텐츠 상당수가 봇(AI)이나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것은 아닐까?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한 가설이 "죽은 인터넷 이론(Dead Internet Theory)"이다.

 

이 이론은 인터넷의 상당 부분이 이미 인간이 아닌 봇과 알고리즘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많은 콘텐츠가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가짜라는 주장을 한다.

 

과연 이 이론은 단순한 음모론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현대 인터넷 환경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일까?

 

이 글에서는 죽은 인터넷 이론의 배경, 주요 주장,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와 반론을 알아보겠습니다.

 

 

 

죽은 인터넷 이론( Dead Internet Theory )

 

1. 죽은 인터넷 이론이란 무엇인가?

 

죽은 인터넷 이론은 2021년경 온라인 포럼에서 처음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 이론의 핵심은 "인터넷이 더 이상 과거처럼 인간 중심의 공간이 아니며, 인공지능과 봇이 주도하는 가짜 콘텐츠가 대다수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을 믿는 사람들은 우리가 SNS에서 소통하는 많은 계정이 실제 인간이 아닌 AI가 운영하는 봇이며, 유튜브의 댓글이나 트위터(현재 X)의 트렌드 역시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일부는 인터넷의 대형 플랫폼(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이 이러한 가짜 활동을 알고도 묵인하거나, 오히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까지 의심한다.

 

죽은 인터넷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주장을 내세운다.

 

 

 

 

2. 죽은 인터넷 이론의 주요 주장

1) 인터넷 콘텐츠의 상당수가 AI 생성물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직접 블로그 글을 쓰고, 포럼에서 토론하며, SNS에서 의견을 교환했다. 하지만 요즘은 자동화된 시스템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는 의심이 많다.

  •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뉴스 기사, 블로그 글, SNS 게시물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 기업들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위해 자동 생성 콘텐츠를 대량으로 퍼뜨린다.
  • 심지어 댓글과 리뷰도 AI가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2) 봇이 인터넷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트래픽의 상당 부분이 실제 인간이 아닌 자동화된 프로그램(봇)에서 발생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2022년 한 보고서에서는 인터넷 트래픽의 **약 40%**가 봇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 SNS에서 특정 이슈가 유행하면, 순식간에 봇 계정들이 해당 키워드를 퍼뜨린다.
  • 유튜브나 트위터에서 특정 댓글 패턴이 반복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좋아요가 붙는 경우가 많다.

3) 알고리즘이 인터넷을 조작한다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접하는 콘텐츠는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 알고리즘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는 점이다.

  • 구글 검색 결과는 알고리즘에 의해 조작될 가능성이 있다.
  • SNS 플랫폼들은 특정 이슈나 의견을 더 많이 노출시키고, 반대 의견을 억제할 수 있다.
  • 알고리즘이 만들어낸 '가짜 트렌드'가 진짜처럼 보일 수 있다.

4) 인터넷은 더 이상 ‘자연스러운’ 공간이 아니다

죽은 인터넷 이론을 믿는 사람들은 "과거의 인터넷과 지금의 인터넷은 다르다"고 말한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했지만, 지금은 대형 플랫폼들이 알고리즘을 통해 정보를 통제하며, 많은 콘텐츠가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다.

  • 유튜브에서 특정 콘텐츠가 갑자기 추천 알고리즘을 타고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있다.
  • SNS에서 자연스럽지 않은 트렌드가 형성되는 일이 많다.
  • 인터넷에서 ‘진짜 인간적인’ 대화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3. 죽은 인터넷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

이 이론이 단순한 음모론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는 몇 가지 실제 사례가 있다.

  • 트위터 봇 문제: 2016년 미국 대선과 2020년 대선에서 트위터 봇이 정치적 논쟁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 유튜브 알고리즘 조작: 유튜브의 추천 알고리즘이 가짜 뉴스나 극단적인 콘텐츠를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SEO 스팸 콘텐츠: 구글 검색 결과에서 자동 생성된 저품질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가 상위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들은 인터넷이 과거와는 다르게 운영되고 있으며, 자동화와 AI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 반론: 정말 인터넷이 '죽었'을까?

하지만 죽은 인터넷 이론에 대한 반론도 많다.

  1. "인터넷은 여전히 인간 중심이다."
    • 봇이 많다고 해도 인터넷의 핵심 사용자는 여전히 사람들이다.
    • 사람들이 직접 작성하는 블로그, SNS 글, 댓글은 여전히 활발하다.
  2. "AI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발전이다."
    • AI가 기사를 쓰거나 댓글을 단다고 해서 인터넷이 ‘죽었다’고 볼 수는 없다.
    • 오히려 AI는 정보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3. "알고리즘은 필터링 도구일 뿐이다."
    •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더 잘 찾아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 이는 인터넷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 기능일 뿐, 조작이라 볼 수는 없다.

 

 

5. 우리는 인터넷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죽은 인터넷 이론이 100% 사실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 이론이 제기하는 문제들은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한 번쯤 고민해 볼 가치가 있다.

  • 우리가 보고 있는 정보가 정말 신뢰할 만한 것인지 의심해보자.
  • SNS에서 마주치는 계정이 실제 인간인지, 아니면 봇인지 구별하려고 노력하자.
  •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정보만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확인하자.

인터넷이 점점 자동화되고 AI가 개입하는 영역이 늘어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에 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현명하게 활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과연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진짜 인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