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서 들리는 '마일드하게' 다들 아는 척하지만 나만 모르는 그 말 뜻?
기타 정보 및 일상반응형
회의 시간 또는 회사에서 과장님 부장님들이 자주 사용하는 "마일드하게 접근해보죠", "마이너한 사항이네요", "디테일 좀 챙겨주세요" 같은 말, 무슨 뜻인지 정확히 모르겠다고요?
괜히 못 알아듣는 티 내기 싫어 끄덕였지만, 속으론 '이거 뭐지?' 싶었던 적 한 번쯤 있으시죠?
이처럼 회사에서 자주 쓰는 '마일드', '마이너', '디테일' 같은 외래어 표현들이 왜 이렇게 흔해졌는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직장 내 외래어 사용 이유와 특징을 알아 봅시다.
이 외래어들의 정확한 의미는?
- 마일드(mild): 부드러운, 순한
- 마이너(minor): 작은, 경미한
- 디테일(detail): 세부적인
표현 | 의미 | 순화 표현 |
마일드한 | 부드러운, 자극적이지 않은 | 순한, 부드러운 |
마이너한 | 소규모의, 덜 중요한, 약간의 | 작은, 경미한 |
시리어스한 | 심각한 | 심각한 |
포멀한 | 격식 있는, 공식적인 | 정식의, 격식 있는 |
캐주얼한 | 가벼운, 격식 없는 | 가벼운, 편한 |
디테일한 | 세부적인 | 자세한 |
왜 회사에서는 이런 외래어를 자주 쓸까?
뉘앙스 차이: '부드러운 접근'보다 '마일드하게'가 더 세련되게 느껴지죠. 이런 미묘한 뉘앙스 전달을 위해 쓰입니다.
빠른 소통: "디테일 챙겨주세요" 하면 '세부사항까지 꼼꼼히'가 직관적으로 와닿아요.
글로벌 기업 문화 영향: 외국계 회사나 IT 업계에서는 영어 혼용이 많고, 그 문화가 국내에도 퍼졌어요.
외래어 남발의 부작용은 없을까?
이해 어려움: 신입이나 외래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오히려 헷갈릴 수 있어요.
가독성 저하: 문서에 과도하게 섞이면 읽기 힘들고 집중력도 떨어집니다.
권위적 느낌: 필요 이상 어려운 표현은 상대방이 위축될 수 있어요.
결국 중요한 건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는 균형 감각이에요.
우리 회사에서는 저렇게 말하는게 흔하다~ 싶은 나도 따라하고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순 우리말로 쉽게 이야기 생활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728x90
'기타 정보 및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도 상반기 화성시 전기차 구매혜택 지원금 얼마일까 (0) | 2025.02.16 |
---|---|
Skrr 이게 뭔데? 요즘 SNS에서 자주 봤는데 무슨 뜻이지 (0) | 2025.02.15 |
지오패키지(GPKG) 파일, GIS의 사용의 세로운 구세주 (0) | 2025.02.14 |
도시계획의 마법 치환으로 바라본 도시의 변화 (0) | 2025.02.11 |
CSV 파일이란? 장점, 단점, 그리고 활용처까지 한눈에 살펴보기 (0) | 2025.02.10 |